2025년 개기월식 날짜·시간표 및 8월·9월 관측 일정
혹시 지난 개기월식을 놓쳐서 아쉬운 경험 있으신가요?
저도 2022년 11월 개기월식을 알람을 맞춰두고도 흐린 하늘 때문에 결국 보지 못해 큰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개기월식은 흔히 오는 현상이 아니며, 한국에서 전 과정을 볼 수 있는 기회는 더더욱 드뭅니다.
이번 2025년 9월 8일, 무려 3년 만에 찾아오는 붉은 달의 장관은 놓치면 다시 몇 년을 기다려야 합니다.
오늘은 2025년 개기월식 날짜와 시간표, 그리고 8월과 9월의 관측 일정까지 모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개기월식 시간표
👉 개기월식 꿈해몽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 개기월식 관측장소
2025년 개기월식과 개기일식 차이
개기월식이 붉게 보이는 이유
개기월식 사진 촬영·관측 팁
개기월식이란 무엇인가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천문 현상입니다.
태양빛이 직접 닿지 못한 달은 어둡게 가려지지만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붉은빛을 띠게 됩니다.
이 현상은 지구 대기를 통과하는 태양광 중 긴 파장의 붉은빛이 달에 닿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이때 달은 흔히 ‘블러드문’이라 불리며, 사람들에게 특별한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2025년 개기월식 날짜와 주요 시간대

2025년 9월 8일 새벽, 한국 전역에서 이번 개기월식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전 과정을 모두 볼 수 있는 드문 기회로, 정확한 시간표를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반영식 시작: 0시 28분
- 부분식 시작: 1시 26분 48초
- 개기월식 시작: 2시 30분 24초
- 최대식(붉은 달 절정): 3시 11분 48초
- 개기월식 종료: 3시 53분 12초
- 부분식 종료: 4시 56분 36초
- 반영식 종료: 5시 55분 36초
이번 개기월식에서 달이 붉게 물드는 시간은 약 83분 동안 이어집니다.
이 시간을 놓치면 2026년 3월 일부 구간, 2029년 1월이 되어야 다시 전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 개기월식 관측장소 추천
한국에서 관측하기 좋은 방향과 위치

이번 개기월식은 남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대식 시 달의 고도는 약 30도 정도로, 아파트나 건물에 가려지지 않는 곳이라면 도심에서도 충분히 관측이 가능합니다.
관측지 추천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도심 외곽 공원이나 전망대
- 서해안 바닷가
- 산 정상이나 교외 지역
빛 공해가 적을수록 붉은 달이 선명하게 보이므로 가능하다면 도심을 벗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8월 말~9월 초 관측 준비 일정

이번 개기월식을 성공적으로 관측하려면 준비가 필요합니다.
특히 새벽 시간대에 진행되므로 미리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8월 25일~31일: 장소 답사 및 리허설
빛 공해가 적은 장소를 답사하고, 스마트폰 또는 카메라 설정을 미리 연습해두면 좋습니다. - 9월 1일~6일: 장비 준비 및 일정 공유
삼각대, 쌍안경, 망원렌즈, 방한용품 등을 준비하고 동행자와 시간표를 공유합니다. - 9월 7일 밤~8일 새벽: 실전 관측
반영식 시작 0시 28분 이전 현장에 도착해 세팅을 마치고, 부분식부터 개기식 전 과정을 기록합니다.
개기월식 촬영 방법
스마트폰과 카메라 모두 적절한 설정만 하면 붉은 달을 담을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 삼각대 필수, 망원 3~5배, ISO 200 이하, 셔터 1/125~1/250초, 노출 -1~-2
- 카메라: 망원렌즈 200mm 이상, 조리개 F8~F11, ISO 100~1600, 셔터 1/60~1/500초, RAW 촬영 권장
특히 최대식 구간은 색감이 진해지는 만큼 후보정에서 더 극적인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전국 주요 관측 행사와 온라인 중계
한국 곳곳의 천문대와 과학관에서는 이번 개기월식을 맞아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습니다.
- 대전시민천문대: 공개 관측회, 망원경 체험, 천문 퀴즈, 유튜브 중계
- 증평 좌구산천문대: ‘좌구산별밤TV’ 유튜브 실시간 생중계
- 국립과천과학관·국립광주과학관: 전문가 해설과 가족 참여형 프로그램
현장 참여가 어렵다면 각 과학관 및 천문대의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개기월식은 맨눈으로 봐도 괜찮나요?
네, 개기일식과 달리 개기월식은 맨눈으로 관측해도 전혀 위험하지 않습니다. 다만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사용하면 붉게 물드는 달의 디테일을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다음 개기월식은 언제 볼 수 있나요?
2026년 3월 3일에 일부 구간을 볼 수 있고, 완전한 전 과정은 2029년 1월 1일에 다시 관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2025년 9월 8일의 기회를 놓치면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합니다.
개인적인 경험과 관측 팁
저는 지난 개기월식 때 부분식까지만 보고 집으로 돌아왔던 기억이 있습니다.
당시 새벽 추위와 피곤함에 포기했지만, 뒤늦게 사진으로만 붉은 달을 보면서 깊이 후회했습니다.
이번에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관측 장소를 미리 답사하고, 알람을 여러 번 맞추며 준비 중입니다.
특히 가족과 함께 새벽 공기를 마시며 달이 붉게 물드는 순간을 나누면 평생 잊지 못할 추억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결론
2025년 9월 8일 개기월식은 한국 전역에서 3년 만에 전 과정을 관측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입니다.
붉은 달이 떠오르는 순간은 약 83분 동안 이어지며, 이를 놓치면 다시 전 과정을 보려면 최소 2029년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이번 여름과 초가을은 관측 준비에 최적의 시기이므로, 지금부터 시간표를 저장하고 장소와 장비를 점검해두시길 추천드립니다.
이번 개기월식은 단순한 천문 현상을 넘어, 특별한 추억이 될 소중한 순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