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기월식이 붉게 보이는 이유와 사진 촬영·관측 팁 (2025년 최신)
혹시 개기월식이 붉게 보이는 장면을 실제로 본 적 있으신가요?
저도 2022년 개기월식 때 알람을 맞춰 새벽에 나가 보았지만 흐린 날씨 탓에 붉은 달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돌아온 적이 있습니다.
이후 자료를 찾아보며 왜 달이 붉게 보이는지, 어떻게 하면 사진으로 남길 수 있는지 알게 되었고, 이번 2025년 개기월식은 절대 놓치지 않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오늘은 개기월식이 붉게 보이는 과학적 이유와 관측 및 촬영 꿀팁을 최신 정보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개기월식 시간표
함께 보면 좋은 글
개기월식 기본 원리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들어갈 때 발생합니다.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놓이면 지구가 태양빛을 가려 달에 직접적인 빛이 닿지 않습니다.
이때 달은 완전히 어두워지지 않고 붉은빛을 띠는데, 이는 지구 대기의 특수한 산란 현상 때문입니다.
개기월식이 붉게 보이는 과학적 이유

태양빛은 다양한 파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짧은 파장(파란색·보라색)은 대기를 통과하며 쉽게 산란됩니다.
반면 긴 파장(붉은색·주황색)은 더 멀리 전달되며, 굴절되어 달 표면까지 도달합니다.
그 결과 달은 마치 불타는 듯한 붉은 빛을 띠게 됩니다.
대기가 깨끗할수록 밝은 주황색으로, 화산재나 미세먼지가 많을수록 어둡고 짙은 적갈색으로 보이는 차이가 나타납니다.
2025년 개기월식 주요 일정

2025년 9월 8일 새벽, 한국 전역에서 개기월식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주요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분월식 시작: 오전 1시 26분
- 개기월식 시작: 오전 2시 30분
- 최대 개기월식: 오전 3시 11분
- 개기월식 종료: 오전 3시 53분
- 부분월식 종료: 오전 4시 56분
개기월식은 약 83분간 이어지며, 전체 진행은 5시간 30분 가까이 소요됩니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2029년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체크해 두셔야 합니다.
개기월식 관측 시 준비물

- 맨눈: 안전하게 감상 가능
- 쌍안경/소형 망원경: 붉게 변하는 표면 디테일 확인
- 카메라와 삼각대: 흔들림 없이 촬영 필수
- 따뜻한 의복과 담요: 새벽 기온 대비
- 간식과 의자: 장시간 관측 시 유용
개기월식 사진 촬영 팁
스마트폰과 DSLR·미러리스 카메라 모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
- 삼각대 필수, 망원 줌은 5배 이내
- 프로 모드: ISO 200 이하, 셔터 1/125~1/250초
- 개기 구간: 노출 -1~-2 조정
- DSLR·미러리스
- 망원렌즈 200mm 이상, 조리개 F8~F11
- 부분식: ISO 100~400, 셔터 1/200~1/500초
- 개기식: ISO 800~1600, 셔터 1/60~1/125초
- RAW 촬영으로 후보정 시 색감 조절
관측 장소 선택 요령
- 도심 외곽 공원이나 강변: 빛 공해 적고 시야 확보 가능
- 산 정상이나 언덕: 달 고도 확보 유리
- 서해안 해변: 남서쪽 하늘 확보에 최적
빛이 적고 시야가 트인 곳일수록 붉은 달이 선명하게 보입니다.
개기월식은 맨눈으로 안전하게 볼 수 있나요?
네. 개기월식은 태양을 직접 보는 개기일식과 달리 눈에 무리가 가지 않으므로 맨눈으로도 안전하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도 개기월식을 잘 촬영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삼각대와 프로 모드 활용, RAW 촬영 기능을 적극 활용하면 DSLR 못지않은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과 다짐
저는 2022년 개기월식을 흐린 날씨 탓에 놓쳤고, 사진 한 장 제대로 남기지 못했습니다.
그 후 자료를 찾아 공부하며 이번에는 삼각대, 망원렌즈, 촬영 세팅까지 철저히 준비해 두고 있습니다.
직접 본 붉은 달은 사진보다 훨씬 감동적이었지만, 기록으로 남겨 다시 보는 것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번 2025년 개기월식에서는 놓치지 않고 제대로 담아내려 합니다.
결론
개기월식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빛의 산란 효과 때문이며, 이는 과학적 원리와 동시에 인간에게 강렬한 감동을 주는 장관입니다.
이번 2025년 개기월식은 3년 만에 찾아오는 기회로, 다시 오기까지 최소 4년을 기다려야 합니다.
이번에 철저히 준비해 직접 보고, 사진으로 기록하며 평생 잊지 못할 순간을 남기시길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