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 예방접종 시기와 주기, 한눈에 정리
홍역은 전염력이 매우 강한 감염병으로, 기침, 고열, 발진 등의 증상뿐만 아니라 폐렴, 뇌염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유아나 접종력이 불분명한 성인의 경우 감염 시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MMR 백신(홍역·볼거리·풍진 혼합 백신)을 정해진 시기에 맞으면 평생 면역을 획득할 수 있어, 예방접종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홍역 예방접종의 정확한 시기, 주기, 대상별 접종 기준을 표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아래에서 홍역 예방접종 비용 얼마나 드는지 알려드립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홍역 예방은 왜 MMR 백신으로 하나요?
MMR 백신은 홍역(Measles), 볼거리(Mumps), 풍진(Rubella)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혼합 백신입니다.
- 2회 접종으로 대부분의 사람에게 장기 면역 형성
- 국가예방접종(NIP)에 포함되어 만 12세 이하 어린이에게 무료 접종 제공
- 감염 예방률 약 95% 이상
홍역 예방접종 시기 및 주기 (어린이 기준)
접종 차수 | 권장 시기 | 접종 대상 | 비고 |
---|---|---|---|
1차 접종 | 생후 12~15개월 | 모든 영유아 | 백신 첫 접종 시기 |
2차 접종 | 만 4~6세 | 취학 전 아동 |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접종 권장 |
- 1차 접종 후 최소 4주 이상 간격 두고 2차 접종 가능
- 두 차례 접종만으로도 대부분 평생 면역 확보
- 모든 소아는 생후 12개월이 되는 달부터 접종 가능
성인 홍역 예방접종은 어떻게 해야 할까?
성인의 경우 대부분 어린 시절에 MMR 백신을 맞았지만, 접종 기록이 없거나 1회만 접종한 경우, 보완 접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접종 또는 항체 검사를 고려하세요
- 1970~1990년대 출생자로 접종 이력이 불명확한 경우
- 해외 여행, 유학, 출장 예정자
- 군 입대, 기숙사 입소, 의료기관 근무 예정자
- 홍역 유행 지역 방문 예정자
- 접종력은 있으나 항체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
※ 접종 이력이 불분명할 경우, 추가 접종을 받아도 안전하며 부작용은 드뭅니다.
접종 이력 확인 방법
-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nip.kdca.go.kr
- 정부24 누리집: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가능
- 보건소 또는 병원: 과거 접종 기록 보유 여부 확인 가능
2차 접종 시기를 놓쳤는데 처음부터 다시 맞아야 하나요?
아닙니다. 1차 접종을 완료한 상태라면 늦었더라도 2차만 보완 접종하면 됩니다. 일정이 지연되더라도 면역 형성에는 문제 없습니다.
MMR 백신을 또 맞아도 괜찮을까요?
네. MMR 백신은 반복 접종해도 안전합니다. 접종 기록이 없거나 확실하지 않은 경우, 추가 접종을 받는 것이 감염 예방에 더 안전합니다.
정리 요약
대상 | 접종 시기 | 접종 횟수 | 비고 |
---|---|---|---|
어린이 | 생후 12~15개월 (1차) 만 46세 (2차) | 총 2회 | 국가예방접종 대상(무료) |
성인 | 접종 이력 불명확 시 언제든지 | 필요시 1~2회 | 항체 검사 후 결정 가능 |
마무리하며
홍역은 감염력이 매우 높은 질병이지만, MMR 백신 2회 접종으로 대부분 예방이 가능합니다.
아기의 경우 생후 12개월 이후 첫 접종을 시작하고,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2차 접종을 반드시 완료해야 합니다.
성인은 접종 기록이 불명확하거나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보완 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 이력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가까운 보건소 또는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 일정을 예약해보세요.
정확한 시기의 예방접종은 나와 가족, 그리고 공동체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